※ 본 글은 분석/정리 포스트이며,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.
Rain은 스테이블코인 네이티브 결제 인프라로 Visa Principal Member 지위를 확보하고, 2025년에만 $82.5M을 유치하며 초고속 성장 중입니다. 거래량은 2025년 1월 대비 10배 증가, 150개국+ 서비스, 100개+ 파트너 네트워크를 확보했습니다. 경쟁 격화·규제 리스크는 상존하나, B2B 인프라 집중 전략과 멀티체인 기술이 핵심 경쟁력으로 평가됩니다.
1) Executive Summary
핵심 결론: Rain은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 시장에서 독특한 포지셔닝과 기술적 차별화로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. Visa 파트너십과 글로벌 확장성이 경쟁우위의 축입니다.
- 총 펀딩: $88.5M (2022–2025)
- 라운드: Seed $6M(’22.04) → Series A $24.5M(’25.03) → Series B $58M(’25.08)
- 트랙션: 거래량 ’25.01 대비 10배, 150개국 서비스, 100개+ 파트너
- 주요 투자자: Sapphire Ventures, Norwest, Lightspeed, Samsung Next, Galaxy, Coinbase Ventures, Dragonfly 등
2) 기업 개요 & 비즈니스 모델
2.1 프로필
- 설립: 2021 (Farooq Malik, Charles Naut)
- 본사: 뉴욕
- 사업: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인프라(카드/월렛/API)
- 비전: 글로벌 상거래의 백본(Stablecoin as rails)
2.2 펀딩 타임라인
시기 | 라운드 | 금액 | 누적 | 핵심 마일스톤 |
---|---|---|---|---|
2022.04 | Seed | $6M | $6M | DAO 기업카드 론칭 기반 |
2025.03 | Series A | $24.5M | $30.5M | Visa Principal Member, 15배 매출 성장, 100개국+ 처리 |
2025.08 | Series B | $58M | $88.5M | 거래량 10배, 150개국, 100+ 파트너 |
핵심 수익모델: 거래 수수료, 카드 발행/운영 수수료, 월 구독, 환전 마진, B2B 급여 솔루션.
3) 시장 & 경쟁 환경
3.1 Porter’s Five Forces
요인 | 강도 | 핵심 논점 |
---|---|---|
업계 내 경쟁 | 높음 (4/5) | Stripe/Bridge, Circle/USDC, PayPal/PYUSD 등 대형 플레이어 가세 |
신규 진입자 | 중간 (3/5) | 규제/보안 역량·초기투자 장벽, 전통금융의 디지털 전환 |
대체재 | 중간 (3/5) | SWIFT/ACH, CBDC 등 |
공급업체 협상력 | 낮음 (2/5) | 멀티체인·표준기술로 의존 분산 |
구매자 협상력 | 중간 (3/5) | 대형 B2B의 협상력 vs 네트워크 효과 |
3.2 시장 기회
-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총: ~$250B(’25) → ’30년 $2T 전망
- 규제: GENIUS Act(미국), MiCA(EU) 등 프레임워크 정비로 제도권 진입 가속
4) 내부 역량(맥킨지 7S)
- Strategy: B2B 인프라 집중, Visa 네트워크 직접 접근
- Structure: 플랫조직, 창업자 중심 의사결정
- Systems: 멀티체인(Base/Polygon/OP/Ava/Arb/ZKsync/Solana), 엔터프라이즈 보안
- Shared Values: 투명성·혁신·고객중심
- Skills: 블록체인/결제/규제 대응
- Staff: 엔지니어링·컴플라이언스·BizDev 확장
- Style: 애자일·데이터드리븐 커뮤니케이션
5) 성장 전략
5.1 Ansoff Matrix
- 시장 침투: B2B 파트너 거래 빈도/카드 발행량 확대
- 시장 개발: EU/APAC, 중소기업·개인 세그먼트
- 제품 개발: 급여/재무관리/DeFi 통합
- 다각화(장기): 스테이블코인 발행·전통 금융 서비스
5.2 GE–McKinsey
산업 매력·경쟁우위 모두 높음 → 공격적 투자/자원 배치 권고.
6) 핀테크 특화 지표
- 기술 인프라: 멀티체인, API-First, 24/7 처리(우수)
- 데이터: 실시간 모니터링·인사이트(양호)
- 생태계: Visa/Toku/100+ 파트너(우수)
- 규제 적응: 글로벌 대응 체계·Visa PM(우수)
7) SWOT
Strengths 스테이블코인 네이티브 기술, Visa PM, 티어1 투자자, 10배 성장, 150개국 리치 |
Weaknesses 수익성 전환 전까지 자금 의존, B2C 인지도, 규제 민감도, 핵심 인재 의존 |
Opportunities $2T 시장 잠재력, 규제 프레임워크 정비, 엔터프라이즈 도입 확산, 지역 확장, 제품 확장 |
Threats Stripe/PayPal/Circle 등 경쟁, 규제 변동성, 기술/보안, 거시 변수, CBDC |
8) 전략적 권고안
단기(1–2년)
- 핵심 시장 공고화: B2B 파트너 성공관리, 카드/거래 빈도 확대
- 제품 포트폴리오: 급여/재무관리 상용화, API·개발자 생태계 강화
중기(2–3년)
- 지역 확장: EU(MiCA), APAC(싱가포르·홍콩) 현지화
- 수직 통합: 온·오프램프 내재화, 규제/리스크 모듈 고도화
장기(3–5년)
- 플랫폼 생태계: 서드파티 마켓플레이스·데이터 서비스
- M&A: 규제/지역 전문성·핵심 기술 보완형 타깃
9) 리스크 관리
- 규제: 글로벌 동향 전담·시나리오 대응·당국 소통
- 기술/보안: 멀티체인 분산, 주기적 보안 감사
- 경쟁: 차별화 가치 제안, 전략적 제휴, R&D 지속
10) 결론 & 투자 관점
Rain은 Visa Principal Member 지위와 멀티체인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네이티브 인프라를 무기로 B2B 결제 인프라에서 빠르게 시장을 넓히고 있습니다. ’25년에만 전체 펀딩의 93%($82.5M)를 유치한 것은 시장의 기대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(리드: Sapphire Ventures).
- 모멘텀: 거래량 10배, 150개국+ 확장, 100+ 파트너
- 디펜시빌리티: Visa 네트워크·규제/컴플라이언스 역량·엔터프라이즈 보안
- 변수: 대형 빅테크의 추격 속도, 규제 레짐 변화(CBDC 포함)
- 리스크: 수익성 전환 전 자금의존, 브랜드 인지도(B2C)
프로필: 고성장-고위험. 스테이블코인 채택 확산과 함께 베타가 큰 편이며, 경쟁/규제 이벤트의 민감도가 높습니다.
FAQ
Q1. Rain은 무엇을 하나요?
기업(B2B)을 위한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(카드·월렛·API) 제공으로, 24/7 글로벌 결제를 지원합니다.
Q2. Visa 파트너십의 의미는?
Visa Principal Member 지위는 네트워크 접근성과 신뢰성을 높여, 기업 고객 온보딩·스케일링을 가속화합니다.
Q3. 주요 경쟁사는?
Stripe/Bridge, Circle/USDC, PayPal/PYUSD, MetaMask 등. 각자 생태계/규제/온오프램프에서 강점이 다릅니다.
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, 실제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 자료는 작성 시점 사용자 제공 내용에 기반합니다.